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빅 테 크 관련주 난리났네요

 

 미국 빅 테크에 투자하는 이유

* 지금 시장은 돈 많은 회사가

더 많이 버는 구조입니다.

빅테크 알아보기

 

* 좋은 회사 자체를 스타트업 때부터

인수해버리니 다른 기업들은 기술 자체를

따라갈 수가 없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주가 전망

독보적 AI 관련주 ft. 빅테크 독과점법

재테크하는 요리사 셰프윤서아빠입니다.

이전 반도체 관련 글들을 쓰면서

AI 산업에는 생태계가 있고

그 생태계의 꼭대기에 있는 기업들은

AI를 이용해 상품을 만들어 내는 회사라고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회사들로 마이크로소프트나

구글, 메타 같은 기업들이 있습니다.

 

오픈 AI의 투자자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미 산업을 많이 앞서 나가고 있는데요.

이런 마이크로소프트가 최근 오픈 AI를 두고

또 다른 AI 회사를 인수하는 수상한 행보를

보이고 있어서 오늘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1. 마이크로소프트 주가 전망

 

마이크로소프트 주봉 차트

 

마이크로소프트 일봉 차트

마이크로소프트 일봉 과거 패턴대로만

가준다면 더 바랄 게 없겠는데요~

노란 원 부분 보시면 횡보하고 상승

횡보하고 상승 매우 이상적인 패턴으로

현재까지는 잘 가주고 있습니다.

지금 주가는 역사적 신고가 부근이라

횡보가 이전보다 조금 더 갈지

저항이 없어서 바로 갈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횡보를 조금 길게 가주면

좋겠습니다.

계속 상승하는 것보다는 이런 패턴으로

상승해 주는 게 장기적으로 보면

주가가 더 안정적으로 갈 수 있을 테니까요.

 

2. AI 기업 "인플렉션" 핵심 인력 영입

글 도입부에 AI 기업 인수라고 표현했지만

핵심 인력을 영입한 겁니다.

* 인플렉션 AI의 공동 창업자 두 명과

핵심 인력들을 영입해서 "코파일럿" 개발을 맡김.

 

* 인플렉션 AI는 22년 설립된 AI 개발 회사로

챗봇 PI를 개발하고 23년 13억 달러의

펀딩을 받고 현재 40억 달러의 기업 가치가 있음.

한때 오픈AI의 경쟁사로도 이야기됐습니다.

* 보통 미국은 그 회사의 기술이 욕심나면

보통 그 회사를 사버립니다.

이것을 인수고용이라고 합니다.

* 지금까지 빅테크 회사들의 성장 동력이

이런 기업 M&A를 통해서 이루어졌고

현재도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의 이번 인력 영입을 보면

표면적으로는 인력 스카우트지만

스타트 기업의 창업자와 거의 모든 기술자들을

고용했다는 것은 사실상 M&A나 다름없다고

봐야 될 것입니다.

핵심 인력이 빠진 스타트 기업이

무슨 가치가 있을까요?

3. 마이크로소프트의 수상한 행보

이번 거래의 수상한 행보

 

* 핵심 인력을 고용한 이후 마이크로소프트는

껍데기만 남은 인플렉션에 6.5억 달러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합니다~

* 이미 기술자들을 모두 확보했는데

뭐 먹을 게 있다고 라이선스 계약을 했을까요?

* 이 계약금은 모두 인플렉션 투자자들에게

지급이 됩니다.

사실상 기업 인수나 다름없는 이야기입니다.

* 그런데 MS는 이번 거래는 인수가 아닌

인력 스카우트 개념이다.

절대 기업 인수가 아니다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 왜 그럴까요?

눈치가 빠르신 분들은 눈치채셨을 겁니다~

바로 빅 테크 독과점법 때문입니다.

* 이번 거래는 독과점 규제를 강화하는

규제 형식에서 벗어납니다.

* 인플렉션은 껍데기만 남았지만 어찌 됐건

회사는 남아있고 라이선스 거래 또한

독점적 거래가 아닙니다.

* 마이크로소프트의 오픈 AI 투자도 현재

미국과 영국에서 조사 중입니다.

* 이렇게 미국과 유럽 규제 당국이 빅 테크 규제를

강화 중인 가운데 이번 마이크로소프트의

거래가 규제에서 제외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겠습니다.